[현장연결] 해경 "피격 공무원 월북한 것으로 판단"…중간수사결과 발표<br /><br />서해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후 북한에서 피격된 공무원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해양경찰청이 그동안의 수색 상황을 담은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합니다.<br /><br /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윤성현 / 해경 수사정보국장]<br /><br />실종된 어업지도공무원 관련 수사 진행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브리핑에 앞서 가족분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.<br /><br />해양경찰은 지난 9월 24일 언론 브리핑 이후 실종 경위를 규명하는 데 두고 단순실족사고, 극단적 선택기도, 월북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진행하여왔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어업지도선 현장조사, CCTV 녹화영상 분석, 실종자 주변인 및 금융관계 조사, 실종자 이동 관련 표류 예측 분석, 국방부 방문을 통한 사실관계 확인 등 다각적으로 진행하여 왔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어제 해양경찰 수사관들이 국방부를 방문하여 확인한 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첫째, 실종자가 북측 해역에서 발견될 당시 탈진된 상태로 부유물에 의지한 채 구명조끼를 입고 있었던 사실.<br /><br />둘째, 실종자만이 알 수 있는 본인의 이름, 나이, 고향 등 신상정보를 북측에서 소상히 파악하고 있었던 점.<br /><br />셋째, 실종자가 월북 의사를 표현한 정황 등을 확인하였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수사팀은 실종자가 구명조끼를 입고 있었던 점을 감안, 단순실족이나 극단적 선택 기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어업지도선 실황 조사와 주변 조사 등에 대한 수사 진행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어업지도선 현장 조사와 동료 진술 등을 통해 선미 갑판에 남겨진 슬리퍼는 실종자의 것으로 확인이 되며 현재 국과수 유전자 감식 중에 있습니다.<br /><br />선내 CCTV는 고장으로 실종 전날인 9월 20일 08시 02분까지 동영상이 저장되어 있었고 저장된 동영상 731개를 분석한 결과 실종자와 관련된 중요한 단서는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정밀감식을 위해 CCTV 하드디스크 원본 등을 국과수에 제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실종자의 북측 해역 이동과 관련한 표류 예측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국립해양조사원 등 4개 기관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실종 당시 조석 교류 등을 비교하여 볼 때 단순표류일 경우 소연평도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남서쪽으로 표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표류 예측 결과와 실종자가 실제 발견된 위치와는 상당한 거리 차이가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인위적인 노력 없이 실제 발견 위치까지 표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해양경찰 수사팀은 실종자가 북측 해역에서 발견될 당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었고 북측에서 실종자에 대한 인적사항을 소상히 알고 있었던 점, 북측의 월북 의사를 표명한 정황이 있었던 점 또한 실종자가 항해사로서 연평도 주변 해역을 잘 알고 있었던 점 그리고 표류예측 분석 결과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실종자는 월북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확인된 사항과 현재 진행 중인 CCTV 감식 그리고 인터넷 포털 기록과 주변인 추가 조사 또한 필요시에 국방부의 협조를 받아 수사를 계속 진행해 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이상입니다.<br /><br />실종자에 대한 표류예측 시스템 분석 결과에 대해서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실종으로 추정되는 시간, 9월 21일 02시부터 다음 날 15시 35분경에 당시에 조석 조류 등을 감안한 표류예측 결과입니다.<br /><br />당시에 선박에서 추락하였을 경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남서쪽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현재 실제로 실종자가 발견된 장소로 추정되는 등산곶 인근 해안까지는 거리가 약 18해리, 약 33.3km의 거리 차이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즉 표류예측 시스템에서 발견된 단순표류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점과 그리고 실제 북측 해역에서 발견된 장소와는 약 33km 이상의 거리 차이가 있음을 저희들이 시스템을 통해서 확인하였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두 가지 여쭤보겠습니다. 그 남성이 자력으로 조류를 거슬러서 이제 38km를 이동했다는 건데 오십에 가까운 남성이 헤엄을 쳐서 피격당한 장소까지 이동하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건지 좀 여쭤보고 싶고요.<br /><br />또 해경이 파악하고 있는 이 남성이 배에서 벗어난 유력한 시간대나 시점이 있을 것 같은데 그때는 언제로 파악이 됩니까?<br /><br />[윤성현 / 해경 수사정보국장]<br /><br />이 실종자가 이 정도의 장거리를 갈 수 있느냐 여부에 대해서는 사실 당시에 파도, 수온 그리고 실종자의 건강상태나 수영 실력 또 어떤 부력재라든가 구명조끼 착용 여부 등 다양한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여기서 가능하다 불가능하다를 직접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운 부분은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건강상태가 일정 상황이 된다면 그런 부력재 등이나 구명조끼 등을 착용할 때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는 그런 전문가들의 의견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실제로 실종된 구체적인 시간은 저희들이 마지막으로 발견된 21일 01시 35분부터 식사시간을 위해서 접촉하기 위해서 침실로 방문했던 11시 약 30분 사이에 다양한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저희가 현재 정확한 시간대를 찾기 위해서 CCTV라든지 여러 가지 동료 진술 등을 조사를 하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정확한 소위 추락시간을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해경이 금융계좌 조회한 걸로 알고 있는데요. 결과가 나왔는지 도박빚이 있다는 얘기가 있던데요. 개인채무 총규모와 이 중 도박빚은 얼마나 되는지 좀 밝혀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[윤성현 / 해경 수사정보국장]<br /><br />지금 저희들이 수사를 한 결과 실종자의 전체 채무는 3억3,000만 원 정도로 파악이 되고 있고 그중에 도박으로 지게 된 채무는 현재 2억6,800만 원 정도로 전체 총 채무에서 상당히 많은 그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사실 도박빚이 있고 채무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실 자녀가 2명 있는 가장인데 굳이 월북을 한 동기는 뭐라고 보시는지가 좀 궁금합니다.<br /><br />[윤성현 / 해경 수사정보국장]<br /><br />조금 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단순히 채무가 있었다, 남측에서 채무가 있었다라든가 여러 가지 어떤 정황만을 갖고 월북으로 단정짓기는...